행성 태양계
※ 태양계 행성의 특징 1. 수성 → 달과 비슷 ① 태양과 가장 가깝고 크기가 가장 작으며 ② 대기가 없어 낮과 밤의 표면 온도 차이가 매우 크다 ③ 표면에 운석 구덩이가 많이 남아 있다
2. 금성→새 별, 비너스 ①크기와 질량이 지구와 비슷하고 지구에서 가장 밝게 빛나는 ②두꺼운 이산화탄소 대기(약 95기압)로 인해 →온실효과로 표면온도(약 479℃)와 매우 높으며 ③자전방향이 지구와 반대방향임 ④자전주기가 공전주기보다 길다
3. 화성-2개의 위성 ①거의 이산화탄소로 이루어진 희박한 대기를 가지고 있다 ②토양에 산화철 성분이 많아 붉어 보인다 ③양극지방에는 얼음과 드라이아이스로 이루어진 백색 극관이 있다→계절에 따라 그 크기가 달라진다(여름은 작아지고 겨울은 커진다)※자전축 경사가 지구와 비슷하고 지구와 같은 계절 변화가 나타난다 ④표면에 물이 흐른 흔적이 있는 ⑤화산활동의 흔적이다 ※올림포스화산→태양계 최대 화산으로 높이는 약 25km로 지구 최고봉인 에베레스트보다 약 3배 높다.
4. 목성 ① 행성 중에서 질량과 반경이 가장 크다 ② 주로 수소와 헬륨으로 이루어져 있고 단단한 표면이 없다.③ 빠른 자전 속도로 인해 적도와 난만하고 밝고 어두운 줄무늬가 나타난다 ④ 대기의 소용돌이에서 생긴 붉은 점(대적점)이 나타난다 ⑤ 희미한 고리와 갈릴레오 위성을 비롯한 많은 위성이 있다(63개) ※갈릴레오 위성(4개) → 이오, 유로파, 가니메데, 칼리스토
5. 토성 ① 태양계에서 목성 다음으로 두 번째로 큰 행성 ② 수소와 헬륨으로 이루어진 ③ 암석 조각과 얼음으로 된 뚜렷한 고리를 가지고 있다 ④ 태양계 행성 중 평균 밀도가 가장 작다 ⑤ 표면에는 적도와 나란히 있다 ⑤ 편평도가 가장 크다 ※ 편평도 → 행성의 평평도 정도이고, 그 중 60개 정도의 평평도 값이 클수록 평평하다 ⑥
6. 천왕성 ① 대기 중 메테인 성분으로 인해 청록색으로 보이는 ② 자전축이 약 98° 기울어 공전 궤도면과 거의 나란히 누운 채 자전 ③ 자전 방향이 지구와 반대 방향인 ④ 희미한 고리와 27개의 위성이 있다.
7. 해왕성 ① 파란색으로 보이며, 크기, 질량, 대기 성분 등이 천왕성과 비슷하고 ② 표면에 대기의 소용돌이인 대흑점이 발견 ③ 희미한 고리와 여러 개의 위성이 있다(13개)
8. 수성과 달에 운석 움푹 패인 곳이 많은 이유 → 대기가 없기 때문에 풍화작용이 거의 일어나지 않으므로 한 번 생긴 운석 움푹 패인 곳이 거의 그대로 보존됨
9. 행성의 줄무늬와 자전 속도 → 목성, 토성과 같은 행성은 기체로 이루어져 있어 자전 속도가 매우 빠르고 표면에 적도와 나란히 있는 방향으로 줄무늬가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