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사용법 정리 Vim

집들이선물추 2021. 7. 12. 03:24

1. Shift + Insert 외부 문자열 를 복사한 것을 (Ctrl + C)vim 에 붙여넣는 명령어이다.[입력모드]에서 Shift + Insert를 입력하면 붙여넣기를 할 수 있다.

부착 전
붙여넣기 후 2.r문자 한문장 수정할 수 있는 명령어[명령모드]에서 r을 입력한 후 바꾸고 싶은 문자를 입력하면 수정할 수 있다.
수정전
수정 후 3. : %s 현재 단어 새 단어 g 현재 파일의 현재 단어를 모두 새 단어로 바꾼다.[명령어 모드]에서 :%s 현재 단어 새 단어 g을 입력한다.
4. ZZvim 내용을 저장하고 종료한다[명령 모드로] 대문자 ZZ를 입력하여 실행한다.
ZZ 명령 실행 전
ZZ 명령어 실행 후
members.h의 파일이 저장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5. dd의 한 줄을 지우는 유용한 기능이다.[명령모드]에서 "dd"를 입력하면 한 줄이 삭제된다.
삭제 명령 실행 전
삭제명령 실행 후 6. yy커솔이 있는 한 행을 복사한다.[명령모드]에서 yy를 입력하면 커서가 있는 한 행을 복사 한다.
복사 명령을 실행해도 나타나는 변화는 없다7.p 현재 커서에 붙여넣기를 한다. 행 복사본인 경우 커서가 있는 행 아래 행에 붙여넣는다.[명령모드]에서 p를 입력하고 붙여넣기를 수행한다.대문자 P 를 입력하면 행 복사본인 경우 커서가 있는 행 윗줄에 붙여넣는다.
붙여넣기 실행 전
붙여넣기 실행 후 8.:wvim 문서를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명령모드]에서 ":w"를 입력하면 저장된다.
:w를 실행하는 모습 9.:qvim 문서를 종료하는 명령어이다.[명령모드]에서 :q를 입력하면 vim이 종료된다.
:q 명령 실행 전
:q 명령어를 실행 한 후 다시 vim을 사용하기 전 화면으로 돌아온 10. Ctrl+f 화면을 아래로 스크롤 한다.너무 긴 vim은 한 화면에 들어오지 않을 때 빠르게 아래로 내려갈 수 있다.[명령모드]에서 Ctrl+f를 눌러 실행한다.
실행 전 아래와 같은 내용을 볼 수 있으며 없다
실행 후 아래 내용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11. Ctrl + b 화면을 위로 스크롤 한다.너무 긴 vim은 한 화면에 들어오지 않으면 빠르게 위로 올려진다.[명령모드]에서 Ctrl+f를 눌러 실행한다.
실행 전 위의 내용을 볼 수 없다.
실행 후 위의 내용을 빨리 볼 수 있음 된다. 12. aia와 i는 명령 모드에서 입력 모드로 들어가게 해주는 명령어이다.a와 i의 차이는 a는 커서 위치의 다음 칸부터 입력되고 i는 커서 위치에 입력된다.
커서의 위치를 놓았을 뿐이고
a를 입력하면 커서 정도 거치대로 다음이 어긋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를 입력했을 때 원래 커서 위치에서 입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13.H커서를 화면 맨 위로 옮긴다.[명령모드]에서 H를 입력하여 실행한다.
H 실행 전 커서의 위치는 중앙에 있다
H 실행 후 커서의 위치는 맨 위로 넘어갔다

14.L커서를 화면 맨 아래로 이동한다.[명령모드]에서 L을 입력하여 실행한다.

L 실행 전 커서의 위치는 중앙에 있는
L 실행 후 커서의 위치가 맨 아래로 옮겨졌다

15.M커서를 화면 중앙 줄로 이동시킨다.[명령모드]에서 M 을 입력하여 실행한다.

M 실행 전 커서의 위치는 맨 위에 있는
M 실행 후 커서의 위치는 중앙으로 옮겨졌다.16. : vs 파일명 창을 수평으로 분할한다.[명령모드]에서 :vs 파일명을 입력하면 분할하여 보여준다.
수평창 분할을 실행하는 모습 17Ctrl + w 커서를 다음 화면으로 이동한다.[명령모드]에서 Ctrl+w를 입력한 후 방향키를 누르면 다음 분할창으로 커서가 이동한다.
실행 전 커서가 첫 번째 화면에 있는
실행 후 두 번째 화면에 커서가 있는 18.:qa의 두 화면을 모두 닫는다. q는 한화면만 종료하게 된다.[명령모드]에서 :qa를 입력하여 실행한다.
실행 후 첫 화면으로 돌아간다. 19. : new 파일명 창을 수직으로 분할한다.[명령모드]에서 :new 파일명을 입력하여 실행한다.
실행 후 파일 2개가 수직으로 분할된 상태를 볼 수 있다.20.Ctrl + w, = 두 개의 창이 화면에 균등하게 분배된다. 일정 폭(넓이 or 높이)이 균등하게 된다.[명령모드]에서 Ctrl+w, =를 입력하면 실행된다.
실행 전 아래 창의 크기가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행 후 상하 창의 크기가 고르게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출처 : https://gyuha.tistory.com https://seulcode.tistory.com 윈도우 분할 <수평창 분할> :vsplit:vs filename (내지정시 빈 화면) :20vs (20칸) <수직창 분할> :sp:10sp:new filename:20vs. (파일 브라우징) <화면 이동과 정리, 닫기> <커서 이동> Ctrl + w, w.. seulcode.tistory.compim을 쓰면서 나름대로 알고 있는 내용을 wiki에 정리해서 올린 다음, 공유합니다. 정리 내용은 유닉스 리눅스 프로그래밍 필수 유틸리티라는 책을 참조했습니다. wiki 페이지는 그래도 볼거리지만, 여기에 붙이면 별로네. gyuha.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