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Syndrome), 리마증후군 스톡홀름증후군(Stockholm)
    카테고리 없음 2021. 7. 11. 10:12

    스톡홀름 증후군 사례 1973년 8월 23일 북유럽 스웨덴 수도 스톡홀름에 있는 신용은행에 은행 강도가 난입합니다.이 은행 강도는 인질 4명을 은행 금고에 강금시키고 요구를 들어주지 않으면 인질들을 살해하겠다고 위협하며 경찰과 대치합니다.

    범인인 잔 에릭 오르손 당시 총리였던 오를로프 팔메는 총력을 기울여 해결하려다 언론에서도 대서특필됐고 TV로도 생중계됐습니다.이 대치 상황은 무려 6일간 진행됐지만 범인은 체포되고 인질들은 무사히 구출됩니다.
    근데 문제는 사건 이후에 발생하는데당시 인질이었던 사람들이 범인을 옹호하고, 범인에게 유리한 증언을 하고, 불리한 증언을 거부하는 행동을 보였으며, 범인을 위한 변호사 비용도 모았다는 겁니다. 구출 당시 구출하려는 경찰을 적대시하는 행동도 보였다고 합니다.

    이것과 비슷한 사례가 1년 후에 미국에서 발생하게 되는데요. 1974년 2월 4일 샌프란시스코에서 패트리샤 허스트(Patricia Hearst)라는 여성이 공생해방군(Symbionese Liberation Army)이라는 극렬단체에 납치되었습니다.패트리샤 허스트는 언론 재벌인 허스트 가문의 상속자였습니다. 부모는 딸 석방을 위해 200만달러를 주었지만 협상은 결렬될 겁니다.

    두 달 후, 공생해방군이 샌프란시스코 교외의 은행을 습격해, 은행의 방범 카메라에는 충격적인 장면이 있었습니다. 곧바로 납치됐던 패트리샤 허스트가 소총을 들고 은행원과 고객을 협박하는 등 적극적으로 강도 행위에 가담했습니다.그 사건이 있고 1개월 후 방송사에 비디오 테이프가 도착했는데 내용은 패트리샤·허스트가 따냐와는 이름으로 "공생 해방군"에 동조하고 자신의 일원임을 자처한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은행강도 사건으로 CCTV에 잡힌 패트리샤 허스트

    납치된 지 1년 7개월 만에 경찰에 체포되고 재판이 시작되자 자신은 협박을 받았고 생존을 위해 어쩔 수 없는 행동이었다고 항변했지만 35년형을 받게 됩니다.(그러나 2년도 안 돼 가석방됩니다.)

    이처럼 납치나 인질 등이 범인과 정서적으로 가까워지면서 범인들에게 우호적이 되거나 심지어 연민, 사랑까지 느끼는 현상을 스톡홀름 증후군이라고 합니다.(첫 번째 사례인 스톡홀름의 한 신용은행 사건에서 명칭이 유사한 예다.)

    원인이 납치되거나 인질이 되는 상황이 되면 특히 생존이 위협받는 상황이 되면 피해자는 급격하게 정신적인 퇴행을 일으키고 생존의 위협을 감지하여 범인 이외로부터 고립되어 범인으로부터 벗어나기 어렵다는 것을 인지합니다.이런 상황에서 범인의 친절 또는 인간적인 취급을 받게 되면 피해자는 이를 유일한 생존 방법으로 착각하고 범인과 자신을 동일시하여 범인의 행동을 합리화하게 됩니다.이러한현상은자존심이높은사람보다자존심이낮은사람에게일어난다고합니다.

    스톡홀름 증후군은 위의 사례처럼 인질이나 납치 관계만으로 발행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주변 근처에서도 발생하는데.

    대표적인 것이 데이트 폭력과 가정 폭력입니다.폭력과 학대를 받지만 가해자들이 가끔 보이는 호의에 더 깊은 연민과 애정을 느끼면서 폭력과 학대를 합리화하려는 행동을 하게 됩니다.공포의 유대(terror bond) 또는 트라우마적 유대(traumabond).

     

    리마증후군(Lima Syndrome) 스톡홀름 증후군이 인질이 인질범에게 동화된 것이라면 리마 증후군은 반대로 인질범들이 동화돼 인질에 우호적이 되는 현상입니다.1996년 12월 17일 페루 수도 리마의 일본대사관을 반군 14명이 점거하고 대사관 직원 400여 명을 인질로 억류해 페루 정부 테슬리스트와의 타협은 없다는 원칙을 지키며 126일간 대치한 사건입니다.이 때 범인들은 인질에게 동화되면 인질들이 가족에게 편지를 보내도록 하고 의약품, 생필품 등의 반입을 허용하고 자신들의 신상이나 사정을 인질에게 털어놓기도 했다.

    이때 인질범이 동화된 것을 스톡홀름 증후군처럼 지역 이름을 따서 리머 증후군이라고 합니다.리마증후군의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 결국 패루 정부의 강경 진압 작전이 실행되어 인질범들은 모두 사살되고 인질극은 끝이 났습니다.

Designed by Tistory.